사용자 삽입 이미지
간단한 기능을 2가지 추가했습니다. 환경설정을 보시면 알림문자와 독아이콘에 방문수 표시라는 항목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새로운 기능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1. 알림문자
알림문자는 댓글, 방명록, 피드백 수에 변경이 있을 경우, 설정해 놓은 텍스트를 소리로 읽어 줍니다. 처음  한번만 나오고 이후로는 소리가 계속해서 나오지는 않습니다. 주의하실 점은 영문만 가능합니다.  한글 출력은 "왔다"라면 소리나는 대로 "wat da" 이런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시스템환경설정/말하기/Text To Speech에서 선택된 음성과 속도로 말을 합니다.

2. 오늘 방문자수 표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좌측과 같이 오늘 방문자수를 독아이콘에 표시해 줍니다. 티돌이 윈도우를 활성화 시키지 않아도 방문자수를 알 수 있습니다. 독아이콘에 방문수 표시 해제시에는 프로그램이 리로드 된 후부터 적용됩니다.


"1.0B가 나왔습니다. 1.0B로 바로 가기"


AND

확인하세요.
07.11.05 17:24
티스토리 관리자에서는 댓글, 방명록 등의 항목들이 6개씩 보여지는데 제가 5개로 착각을 하고 작업 하였습니다. 다시 수정하여 버젼을 0.6B로 수정하였습니다. 0.5B로 되어 있는 분들은 다시 설치해주시기 바랍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S X에서 티스토리 계정 블로그의 새로운 댓글, 피드백, 방명록이 작성되었을 때 알려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환경은 유니버셜 바이너리 (PPC/Intel 사용 사용 가능), OS X 10.4 (타이거) 이상 입니다.

1. 환경 설정

처음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메뉴의 환경설정에서 로그인 정보를 설정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블로그 주소: tistory.com을 제외한 블로그 아이디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로그인 아이디: 관리자 페이지 로그인 아이디(메일주소)를 입력합니다.
  • 패스워드: 관리자 페이지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 갱신주기: 데이터를 가져오는 주기를 설정합니다. 처음 60초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환경설정을 저장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다시 실행해 주세요.

2. 수신 확인

아래와 같이 성공적으로 자료를 가져 오는지 확인 합니다.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하단의 메시지 창에 오류의 원인이 출력됩니다. 참고하시고 설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기타 기능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로그램이 비활성화 되어 있을 때, 변경이 생기면 독에서 메일과 같이 아이콘이 톡톡 튑니다.

아이콘을 클릭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키면, 다시 변동이 생길 때까지 고정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항목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포스트로 이동합니다. 티돌이 항목은 관리자 로그인 상태에서 보여주는 항목이기 때문에, 기본 브라우져 상에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비공개 포스트는 페이지를 찾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4. 주의 사항
제 맥과 블로그에서만 테스트를 해 보아서 다른 환경에서는 잘 동작할지 염려가 됩니다.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댓글로 알려 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처음에는 티스토리에서 관련된 오픈 API를 제공하는지 찾아 보았으나 없는 것 같아, HTML 파싱으로 자료를 가져오도록 하였습니다. 티스토리에서 로그인이나 HTML에 변경이 있을 경우에는 오동작을 할 수가 있습니다.

저도 계속 사용중이니 티스토리에서 변경이 있고 반영 가능하다면 계속 수정해 나가겠습니다. 오동작 할 경우에는 이 블로그에서 변경된 새 어플리케이션의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1.0B가 나왔습니다. 1.0B로 바로 가기"

'습작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돌이 1.0B  (24) 2008.01.07
티돌이 0.7B  (2) 2007.11.08
맥 OS X용 올블로그 실시간 인기글 위젯  (21) 2007.10.15
맥용 타자 게임 - 덕수리 0.5 업데이트  (18) 2007.08.24
맥용 타자 게임 - 덕수리 0.5B  (6) 2007.08.18
AND

Xcode 2/Tip 2007. 10. 26. 15:28
1. Xcode

1. 프로젝트 & 파일

* 새 프로젝트 [shift][command] N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 프로젝트 닫기 [control][command] W
현재 프로젝트를 종료한다.
* 프로젝트 추가 [option][command] A
프로젝트에 파일을 추가 한다.
* 새 파일 [command] N
새로운 파일을 작성한다.
* 파일열기 [command] O
파일을 오픈한다.
* 파일 저장 [command] S
현재 파일을 저장한다.
* 모든 파일 저장 [option][command] S
프로젝트의 모든 변경된 파일을 저장한다.


2. Xcode

* 새 그룹 생성 [option][command]  N
좌측의 Groups & Fiels에서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
* 파일그룹 지정 [option][command] G
선택된 파일들을 새로운 그룹으로 만든다.
* 파일그룹 지정 [option][command][shift]G
그룹을 해제한다.
* 에디터 전체 보기 [shift] [command] E
Group & Files 윈도우를 제외하고 에디터를 전체 보기로 만든다.
* 에디터 전체 보기 [shift] [option] [command] E
Group & Files 윈도우도 감추고 에디터를 전체 보기로 만든다.
* 클래스 브라우져 [shift] [command] C
프레임워크 또는 사용자 정의 클래스의 메소드, 소스를 보여 준다.
* target 속성창 [option][command] E
빌드 및 어플리케이션 옵션을 설정한다.
* 실행 속성창 [option][command] X
실행파일 패스, 인자, 디버깅 정보를 설정한다.
* 핼프 [shift] [command] /
Xcode 핼프 윈도우를 연다.


3. 빌드

* 빌드 [command] B
프로젝트를 빌드 한다.
* 빌드 후 실행 [command] R
빌드를 완료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빌드 후 디버그 [command] Y
빌드를 완료한 후, 디버그를 실행한다.
* 빌드 결과 보기 [shift][command] B
빌드 결과창을 보여준다.
* clean [shift][command] K
소스 파일의 날짜를 현재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시 컴파일 될 수 있도록 한다.


4. 디버깅

* 다음 경고/오류 [command] =
소스파일에서 경고나 오류가 발생한 다음 위치로이동한다.
* 이전 경고/오류 [shift][command] =
소스파일에서 경고나 오류가 발생한 이전 위치로 이동한다.
* 디버거 [shift][command] Y
디버거 윈도우로 이동한다.
* 디버그 실행 [option][command] Y
디버그를 시작한다.
* 브레이크포인트 보기 [option][command] B
브레이크포인트가 설정된 위치를 모두 보여 준다.
* 브레이크포인트 [command] \
현재 위치에 브레이크포인트를 설정/해제 한다.
* step into [shift][command] I
한라인씩 실행하며 함수일 경우 내부로 진입한다.
* step over [shift][command] O
한라인씩 실행하며 함수일 경우 건너 뛴다.
* step out [shift][command] T
함수를 나가 호출한 위치 다음으로 이동한다.
* 로그창 [shift][command] R
실행로그창을 보여 둔다.


5. 에디터

* 잘라내기 [command] X
현재 선택된 영역을 잘라낸다.
* 복사 [command] C
현재 선택된 영역을 복사낸다.
* 붙여넣기 [command] V
현재 클립보드에 있는 내용을 붙여 넣는다.
* undo [command] Z
실행을 취소한다.
* redo [shift] [command] Z
undo를 취소한다.
* 전체선택 [command] A
파일 전체를 선택한다.
* 자동완성 보기 [esc]
자동으로 입력될 내용(함수, 변수)들을 보여 준다.
* 다음 제안 [control] .
자동완성 목록중에 다음 목록을 보여 준다.
* 이전/다음 파일 [option] [command] 왼쪽 방향키
여러 파일이 열려있을 경우에 다음 소스 파일을 보여 준다.
* 이전/다음 파일 [option] [command] 오른쪽 방향키
여러 파일이 열려있을 경우에 이전 소스 파일을 보여 준다.
* 헤더/소스 파일 보기 [option] [command] 위쪽 방향키
소스파일일 경우에는 헤더 파일을 헤더파일일 경우에는 소스 파일을 보여 준다.
* 우측으로 들여 쓰기 [command] ]
현재 또는 선택된 영역의 내용을 오른쪽으로 한칸 들여 쓴다.
* 좌측으로 들여 쓰기 [command] [
현재 또는 선택된 영역의 내용을 왼쪽으로 한칸 들여 쓴다.
* 찾기 [command] F
현재 에디터에서 문자를 찾거나 대치한다.
* 전체 찾기 [shift][command] F
모든 프로젝트 또는 열린 파일에서 문자를 찾거나 대치한다.
* 다음 문자 [command] G
다음 문자를 찾는다.
* 이전 문자 [shift][command] G
이전 문자를 찾는다.
* 찾기 문자열에 복사 [command] E
현재 선택된 문자를 찾을 문자열 에디터에 복사한다.
* 대치 문자열에 복사 [command] J
현재 선택된 문자를 대치할 문자열 에디터에 복사한다.
* 라인 가기 [command] L
지정한 라인으로 바로 간다.
* 북마크에 추가 [command] D
현재 라인을 북마크에 추가한다.


2. 인터페이스 빌더

1) Window

* 인스펙터 [shift][command] I
오브젝트의 속성창을 연다.
* attributes [command] 1
인스펙터의 attributes 항목을 연다.
* connections [command] 2
인스펙터의 connections 항목을 연다.
* size [command] 3
인스펙터의 size 항목을 연다.
* bindings [command] 4
인스펙터의 bindings 항목을 연다.
* 팔레트 [command] /
팔레트 윈도우를 보여준다.
* 테스트 [command] R
윈도우를 실행한다.
* 테스트 종료 [command] Q
윈도우를 종료하고 인터페이스 빌더로 돌아 온다.
* 정렬 판넬 [shift][command] A
윈도우 상의 오브젝트들을 정렬할 수 있는 판넬을 연다.
* 레이아웃 사각형 [command] L
오브젝트들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보여주거나 감춘다.
* 레이아웃 검사 [shift][command] V
 레이아웃 검사창은 보여준다. 오브젝트들의 겹침, 잘림등을 체크해준다.


2)  Classes

* subclass [option][command] S
Classes 판넬에서 현재 선택된 클래스의 서브클래스를 생성한다.
* Action 추가 [option][command] A
Classes 판넬에서 현재 선택된 클래스에 Action을 추가한다.
* Outlets 추가 [option][command] O
Classes 판넬에서 현재 선택된 클래스에 Outlet을 추가한다.
* Outlets 추가 [option][command] F
Classes 판넬에서 현재 선택된 클래스의 소스파일을 생성한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