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저희 가족 홈페이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한가한 토요일 오후라 블로그 RSS를 가져 오는 루틴을 만들고 있었는데, 실컨 하다가 php 홈페이지에서 문서를 보니 SimpleXMLElement라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PHP5부터 지원한다고 하네요.

<?
$rss = file_get_contents("http://www.cocoadev.co.kr/rss");
$xml = new SimpleXMLElement($rss);

print "Blog: <a href='".$xml->channel[0]->link."'>";
print $xml->channel[0]->title."</a><br>";

print "<ul>";
foreach($xml->channel[0]->item as $item)
{
    print "<li><a href='".$item->guid."'>".$item->title."</a> ";
print "(".$item->pubDate.")</li>";
}
print "</ul>";
?>

사용자 삽입 이미지

편한 방법을 찾은 건 다행인데, 왠지 허무하기도 하고 만들 의욕이 그냥 팍 다운되네요. 컴퓨터는 그만 끄고 아들녀석이랑 놀아 줘야 겠습니다.
AND

몇일전 즉흥적으로 Flex에 대한 포스트를 올렸다가, 댓글을 주신 Jason님의 블로그에서 흥미있는 내용을 발견하였습니다. Xcode에서 Flex를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링크였습니다. 이번 내용들은 그 링크가 된 사이트인 joshbuhler.com에 서 보고 따라 해 본 것입니다.


방법 1

1. Flex SDK 설치

아도비 사이트에서 free Flex SDK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폴더를 flex로 변경하고 /Developer/SDKs/ 아래로 옮겨 놓습니다.(원작자 분이 거기다 놓는게 좋답니다. 나중에 보니 이해가 가더군요.) 쓰기 권한이 없기 때문에 복사를 할 수가 없어, 터미널에서 root 계정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파인더에서 아래와 같이 flex가 복사 되어 있음을 확인합니다.
(저는 flex2로 했는데 이는 나중에 두번째 방법에서 번거로움이 있으니 flex로 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Xcode 설정

1) Project 생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Xcode를 실행하고 New Project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Empty Project를 선택합니다.

New Project를 처음 본 것은 아닌데 맨 위의 Empty Project는 처음 보는 항목이었습니다.





2)  사용자빌드 환경 설정

Xcode 좌측의 Groups & Files 바로 아래에서 프로젝트명을 더블클릭하여 Info창을 열고 Genral 항목을 선택합니다. 하단에서 Cross-Devleop Using Target SDK 항목을 Other로 변경합니다. 변경 후에 확인하는 경고창이 뜨는데 Change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Choose 버튼을 클릭하여 이전 단계에서 flex를 설치한 디렉토리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좌측과 같이 타겟을 우클릭(or control+클릭)하여 Add/New Target을 선택합니다. 선택창에서 Special Targets > External Target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Taget Name을 mxmlc로 하고 종료 합니다.


Targets 밑에 mxmlc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시고 mxmlc를 더블클릭하여 아래와 같은 정보 창을 오픈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이 Build Tool에 /usr/bin/java 를 입력하시고, Arguments에는 -jar $(SDKROOT)/lib/mxmlc.jar -flexlib $(SDKROOT)/frameworks -verbose=true -file-specs $(PROJECT_NAME).as 와 같이 입력합니다.


3) 소스 파일 생성

눈여겨 보실점은 $(PROJECT_NAME).as로 되어 있으니, 후에 생성할 소스파일명이 프로젝트와 동일해야 합니다. 저는  testFlex로 하였으니 testFlex.as로 생성하였습니다. 소스 파일명을 변경하실려면 이 부분을 변경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좌측과 같이 New File...을 클릭합니다. 첫번째 항목인 Empty File in Project를 선택하고 프로젝트명과 동일하게 파일명을 testFlex.as로 하고 종료 합니다.



아래와 같이 소스 파일과 타겟이 생성된 것을 확인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열심히 해 보았지만 위의 -flexlib 옵션 때문에 컴파일 시 오류가 납니다. 다시 잘 살펴 보니 글 쓴 시점이 2005년 10월 21일이고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빌드 오류는 그 사이 Flex SDK가 업그레이드 되면서 변경사항이 있었는 것 같습니다. 터미널 쉘상에서 해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일단 Xcode의 새로운 사용법을 알았다는데 만족하고 새로운 링크로 다시 갑니다.


방법 2

방법1에서와 같이 flex SDK를 다운 받고 /Developer/SDKs/flex에 flexSDK에 있어야 합니다.

1. Flex 프로젝트 템플릿 설치

원 저작자가 만드신 것 같은데 프로젝트 템플릿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압축을 풀고 생성된 FlexApplication 디렉토리를 /Library/Application Support/Apple/Developer Tools/Project Templates /Flash로 복사합니다. 마지막에 /Flash 디렉토리는 만드셔야 합니다.

위의 폴더를 보시면  Xcode에서 프로젝트 생성 시 나오는 템플릿들과 같은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프로젝트 생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Xcode를 다시 실행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드시면 좌측과 같이 Flash 밑에 FlexApplication이라는 새로운 항목이 생긴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항목을 선택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위에서 수동으로 작업하였던 내용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프로젝트명].mxml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ustom Build Command를 확인하시면 방법1의 java를 이용한 것과는 달리 다른 명령어와 인자로 되어 있습니다. java에 의존하던 것을 네이티브한 실행파일로 변경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1의 방법에서 아래의 내용으로 변경하고 mxml파일을 프로젝트에 추가해주면 컴파일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Build Tool에 보면 경로이 Flex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저는 괜히 처음에 flex2로 만들어 놓아 flex2로 변경하였습니다. 빈 프로젝트지만 컴파일은 이상이 없었습니다. 간단한 Flex 사용기는 다음으로 미룰려고 합니다.

쉽게 Xcode에서 Flex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신 Jason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사실 Josh님께도 감사를 드려야 하는데 "hi, thanks ^^"만 쓰고 튈수도 없고 해서 그냥 마음으로만 드립니다.

이전 어쩔 수없이 짧은 지식으로 플래쉬 작업을 한 적이 있습니다. 타임라인이니 레이어 같은 알수 없는 환경에 좌절하고 오로지 액션스크립트로만 작업을 하고 넘겼는데, 플래쉬를 하시는 분이 소스를 보셨으면 무슨 생각이 드셨을지 모르겠네요. 아마 회사에 엄청 불만있는 사람으로 생각했을 것 같습니다.
 
아직도 모르겠지만 플래쉬에 비해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과 공짜라는 점에 무척 관심이 갑니다. 코코아는 물만 끓여 놓고  자꾸 딴데만 두리번 거리고 있네요.
AND

방명록에 질문 해주신 분이 계셔서 일단 컴파일만 해보고 성공된 내용을 올립니다. 급하게 컴파일만 해보고 하는 방법이니 틀린 내용일 수도 있습니다. 제가 파이어폭스 플러그인에 대한 지식이 전무해서요.

저도 처음보는 환경이라 우선 모질라 개발자 센터로 가서 흩어 보았습니다. 윈도우즈와 리눅스에서 컴파일을 하는 방법을 읽어 보니 플러그인을 .dll .so등 동적 라이브러리로 만들어야 되는 것 같습니다.

C++ 예제가 있는 것 같아 맥의 Xcode에서는 New Project에서 Dynamic Library의 C++ Standard Dynamic Library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이 gecko-sdk를 찾을 수 있도록 include/lib 패스를 지정해 줍니다. 저는 바탕화면에 있어서 위와같이 세팅했습니다.

그리고 샘플 중 weblock1.cpp 내용을 복사해 와서, 제 프로젝트의 cp(c++ 소스파일) 파일에 복사해서 넣었습니다. 컴파일은 오류없이 성공했습니다.

유닉스 makefile예제를 보니 별다른 변환없이 동적 라이브러리면 가능한 것 같은데, 저도 이부분은 잘 모르겠씁니다. 또 하나 확장자가 예제의 .so가 아니라 .dylib입니다. 자세한 것은 모르지만 아마 설치스크립트를 작성해야 하는 것 같은데, 이 부분에서 변경하면 별 문제 없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일단 빌드가 급하신 것 같아 대충 올려 봅니다. 정확한 내용은 시간이 있을 때 찬찬히 해보고 올리겠습니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