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08. 10. 10. 15:08
아이팟 터치 2세대 8GB를 구입하고 이틀 써보았습니다. 28만원이란 가볍게 여길 수 없는 가격이지만 여지껏 제가 산 디지털 제품중에 이만큼 가격대비 만족을 주었던 제품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iCal의 일정들과 주소록에 있던 연락처들을 아이튠즈를 통해 동기화를 시켜 들고 다니면서 맥과 패밀리룩의 UI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 하나로 본전은 뽑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음악이나 동영상 기본적인 멀티미디어 파일을 플레이할 수 있어 좋고,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게임들도 아기자기하게 재미있는 것들이 많네요. 요즘 왠만한 곳에선 Wi-Fi로 연결되니 사파리나 이메일등 인터넷을 사용하는데도 큰 불편함은 없는 것 같습니다.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역시나 UI 였습니다. 물론 터치패드로 동작하지만 단 하나의 홈 버튼은 매우 직관적이며 사용을 쉽게 합니다. (눈에 잘 안뛰게 전원, 볼륨조절 버튼은 있습니다) 입력하는 부분이 걱정되었는데, 오히려 지금 사용하는 QWERTY 키보드를 내장한 애니콜 블랙잭 보다 더 편했습니다. 터치시 효과나 패스워드 입력시에는 잠시 입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에  * 로 변환되는 모습은 참 인상적이였습니다. 그외 화면전환이나 곳곳에서 보이는 섬세한 에니메이션 효과도 감동적이었고요.

아이팟 터치, 모바일 미, 맥의 아이튠즈, 아이포토등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찰떡궁합이 사용하는 즐거움을 더 해주는 것 같습니다. 아이폰을 당장 구매할 수 없는 아쉬움을 달래려고 구입했는데, 터치에 핸드폰, 카메라, GPS등의 기능이 추가된 아이폰이 더욱 아쉬워집니다.

아이폰 개발자 등록은 생각지 않고 있었는데, 더 재미있게 가지고 놀기 위해선 이제 등록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팟 터치의 메뉴얼은 애플의 iPod 메뉴얼 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Rails 어플리케이션 생성  (0) 2008.10.20
1. Ruby on Rails 설치 및 설정  (4) 2008.10.15
OS X 루트계정 활성화  (6) 2008.10.08
nib 파일 둘러보기  (7) 2008.09.01
OS X의 번들(Bundle) 둘러보기  (2) 2008.08.28
AND

기타 2008. 10. 8. 18:17
루트계정을 활성화 할려고 했더니 10.5는 10.4에서 사용하던 NetInfo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검색을 해보니 어플리케이션/유틸리티 폴더에서 '디렉토리 유틸리티'에서 변경이 가능했습니다. OS X의 각 버젼별로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Enabling and using the "root" user in Mac OS X 문서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디렉토리 유틸리티를 실행하고 좌측하단의 자물쇠를 클릭한 후, 이름과 암호를 입력합니다. 메뉴의 편집에서 Root 사용자 활성화를 클릭합니다.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승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터미널에서 root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sudo를 사용하면 OS X에서는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지만, root 계정이 편하신 분들은 활성화 해놓고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Ruby on Rails 설치 및 설정  (4) 2008.10.15
아이팟 터치 2세대  (8) 2008.10.10
nib 파일 둘러보기  (7) 2008.09.01
OS X의 번들(Bundle) 둘러보기  (2) 2008.08.28
맥 OS X에서 CHM 파일 보기  (4) 2008.08.19
AND

이번에는 CoreData를 이용하는 간단한 샘플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전에 Xcode 2.*대에서 이와 비슷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간단한 ToDo 어플리케이션 만들기"란 포스팅을 한적이 있습니다. 소스코드에 추가 없이 마우스 클릭만으로 간단히 만드는 예제였는데 Xcode 3에서는 그 마우스 클릭도 최소한으로 줄이고 자동화여, 누구나 쉽게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Core Data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ADC 문서들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프로젝트 생성
Xcode를 실행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메뉴에서 File / New Project.. 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Mac OS X / Application 항목에서 Core Data Document-based Application을 선택하고 Choose...를 클릭합니다.
프로젝트명에 'BookList'를 입력하고 save 버튼을 클릭하여 완료합니다.


2.  Data Model
1) Data Modeling tool
좌측과 같이 Xcode의 Groups & Files아래에 BookList / Models에서 MyDocument.xcdatamodel을 더블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데이터 모델링 툴이 오픈됩니다.
2) Entity 추가
위의 이미지에서 붉은색 화살표가 가르키는 Entity 항목 하단의 +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Entity를 추가합니다. 생성된 항목을 더블클릭하거나 우측의 설정창에서 Name: 항목의 입력창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Books'로 이름을 변경합니다.


3) Attribute 설정
* 추가
이제 Books에 속성(Attribute)를 추가합니다. Property창 하단의 + 버튼을 클릭하여 나오는 항목중 Add Attrribute를 클릭합니다. 2번 더 반복하여 3개의 속성을 생성합니다.

* 설정
속성들의 이름을 각각 titile, writer, press로 입력하고 아래와 같이 항목들을 설정합니다.




3. 인터페이스 빌더
Xcode에서 MyDocument.xib를 더블클릭하여 인터페이스 빌더를 오픈합니다. 먼저 윈도우에 기본으로 생성되어 있는 "Your document contetents here'  라벨을 삭제합니다.

그리고 라이브러리 윈도우의 Cocoa / Objects & Controllers / Core Data 항목에서 좌측과 같은 Core Data Entity를 드래그하여 윈도우로 가져다 놓습니다.



1) Core Data Entity 생성
윈도우로 드래그를 완료하면 설장창이 오픈됩니다. 아래와 같이 entity를 Books로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하고 각 단계별로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2) 윈도우 크기 조절
생성된 항목에 맞추어 아래와 같이 윈도우의 크기를 적당히 조절합니다.

4. Build & Test
현재까지의 작업만으로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빌드를 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테스트 합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등록, 변경, 삭제, 검색 등과 파일 저장/오픈이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Xcode 3 > 튜토리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Xcode3 첫 어플리케이션  (17) 2008.09.26
AND